arr.splice(index, delEle, newEle);
0. arr.splice(ele)
- 배열의 ele 요소를 기준으로 잘라내기(제거)
- const arr = [ 0, 1, 2, 3, 4 ]
arr.splice(2);
arr = [ 0, 1 ]
1. index
- 배열의 index
- arr[index]
2. delEle
- 배열의 index 로 부터 delEle 만큼 제거
- const arr = [ 0, 1, 2, 3, 4 ]
arr.splice(0, 1)
arr = [ 1, 2, 3, 4 ]
- arr[0] 에서 1개 잘라냄
3. newEle
- index, delEle 후. newEle 로 교체
- const arr = [ 0, 1, 2, 3, 4 ]
arr.splice(0, 1, 99)
arr = [ 99, 1, 2, 3, 4 ]
- arr[0] 에서 1개 잘라낸 후, 그 자리를 newEle 로 교체
4. 지운 값 얻기
- const arr = [ 0, 1, 2, 3, 4 ]
const getEleEle = arr.splice(0, 2);
getEleEle = [ 0, 1 ]
- arr.splice 를 통해 index 0번부터 2개의 인자를 제거
- getEleEle = 제거된 값 = [ 0, 1 ]
'프로그래밍 기초 > 기초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초, 명령어 (0) | 2023.09.04 |
---|---|
커널, 배포판, 리눅스 커널 구조 (0) | 2023.09.04 |
map, reduce (0) | 2023.08.09 |
따옴표, 백틱(backtick, `) (0) | 2023.08.08 |
컴파일(Compile), 빌드(Build), 배포(Deploy), CI/CD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