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Lab
- 무료 git 저장소
SourceTree
- https://www.sourcetreeapp.com/
- git GUI ~ git 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도구
2023.07.12 - 1차 수정 / 수정 및 내용 추가
0. gitLab 회원 가입
- 무료, 최대 10GB제한
2. 신규 프로젝트 만들기 및 소스트리와 연동
- 가입 후 Create Project 하여 새 프로젝트 생성
- 오른쪽 'Clone' 버튼을 누른 후 'Clone with HTTP' 복사
2-1. SourceTree 와 연결
- 'Clone' 클릭
- 첫번째 줄: 깃 저장소 연결 / 두번째 줄: 내 로컬의 저장소 위치 / 세번째 줄: 프로젝트 이름
- 복사한 내용을 1번에 입력, 탐색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검색됨
- 저장소 위치는 본인이 바꿀 수 있음
- test 인데 text 라고 쓴건 무시하자 .....
- 완료 후 클론 버튼 클릭
2-2. 개발에 필요한 branchs 세팅
- 소스 트리가 있으니 소스트리를 이용한 간단한 방법으로 설명
- 각각 중요한 가지에 대한 개념 설명은 https://seo-developer.tistory.com/25 (소스트리 사용법) 참고
- 대강 master(최종 버전), develop(개발 버전, 테스트 서버), 잔 가지(필요한 기능에 따른 branch) 가 필요하다.
- master 랑 develop 은 최종 관리자가 아닌 경우 왠만하면 터치 금지.
- 관리자의 경우, 잔 가지에서 병합 요청을 날릴 경우 develop 에서 파일을 확인 후에 병합 해주면 된다!
- 기본 dafault 브랜치 바꾸는법 >> 깃랩에서 Repository > Repository 의 View branch rules 에서 branch defaults 클릭하여 원하는 브랜치로 변경 가능
3. (본인이 생성한 신규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작업물이 있다는 전제) 기존 작업물 내려받기
- https://seo-developer.tistory.com/25 (소스트리 사용법)
- 각자 개발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develop 이 기준점
- develop 에서 체크아웃 후 Pull (내려받기) 진행
- 위에서 설정한 저장소 위치로 프로젝트가 내려옴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k 포크 사용법 (0) | 2024.11.07 |
---|---|
SourceTree 소스트리 사용법_(수정: 2023.11.10)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