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간 정보

공간정보 공부


0. 공간정보의 정의

-넓은 의미 : 지도 및 지도위에 표현 가능하도록 위치, 분포 등 알 수 있는 모든 정보

 

과거에는 단순공간에 대한 정보의 개념이었지만 현재는 융합공간정보로 다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과거 현재(및 미래)
단순 공간정보 융합 공간 정보
일방적 생산자 
'프로듀서'
소비자 + 생산자
'프로슈머'
사용자는 사람 모든 영역으로 확대

공간정보에 대한 영향이 커짐에 따라 GIS의 개념도 바뀌고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 - > G (General, Geo) + I (Infomation, Intekkugent) + S (Service ... 등)


1. 공간자료

0). 개요

      현실세계             ←---------------------

             ↓(자료수집)                              |

      지리정보(도형자료+속성자료)         |

             자료저장                                |

      자료 유지, 관리                                |

             자료 검색, 인출                      |

      자료 조작, 분석, 출력                      |

             정보제공                                |

      의사결정          --------------------------


2). 공간자료의 유형과 수집방법

  래스터 자료 벡터 자료
1차 자료수집
(직접수집)
디지털 원격탐사영상 (항공 레이저 자료, 위성영상) 현지 측량 자료
GPS 위치 측정자료
항공사진 모자빌 자료구축 시스템에 의한 자료
2차 자료수집
(간접수집)
스캐닝된 지도나 도면 디지타이징된 지도나 도명
지형도로부터 추출된 수지표고모형(DEM) 지형지도나 DEM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변환된 지형자료, 또는 불규칙삼각망(TIN)자료

          ? 래스터 자료와 벡터자료

          1). 래스터 자료 : 래스터 이미지(픽셀로 표현)

               - 십자수처럼 한 칸 한칸씩 표현된다.

               - 섬세하고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

               - 각 픽셀의 값에 대한 속성테이블과 색상테이블이 필요함

          2). 벡터 자료 : 벡터 이미지(좌표로 표현)

                - 포켓몬 띠부띠부실처럼 깔끔하게 떨어지듯 표현된다.

               - 좌표에 내용이 압축되어 데이터 용량이 적고 더 많은 내용을 포함

           https://velog.io/@chayezo/벡터Vector와-비트맵Bitmap의-차이


3). 공간자료의 수집방법

     (1). 위성영상

         - 액티브 : 광선을 발사, 돌아오는 내용을 회수. 박쥐같다고 표현함

         - 패시브 : 자연적으로 발생한 태양 복사에너지를 통해 수집

          ? GNSS 와 GPS

          1). GNSS : 글로벌 카테고리 위성, 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 및 항법 시스템

          2). GPS : 미군이 만든 개념, GNSS와 거의 동일한 내용이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다르다.

 

(2). 그밖에 라이다, 항공사진, 드론, 지중탐사 등이 있다.


2. 공간자료의 모델과 구조

1). 공간자료의 구성

도형자료
속성자료
래스터 모델 벡터 모델 TIN 테이블
셀 로 표현 점, 선, 면(다각형)으로 표현 삼각형으로 표현 열과 행으로 표현

- 도형자료과 속성자료로 구성되며, 서로 상호 연계하여 사용한다.

- 공간자료가 분석이 가능한 것은 위상(토폴로지)가 정의되어 있음(인접성, 연결성, 포함성 등)

      ? 토폴로지(Topology)

          - 연결. 쉽게 설명하면 각각의 노드(포인트)를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것, 혹은 그 방식.

- 공간자료는 시간에 따른 변화도 기록하고 표현할 수 있다.


3. 공간자료의 변환

1). 공간자료 모델의 변환

    - 다양한 자료를 함께 활용하기 위해 변환과정이 필요

    - 래스터 자료와 백터 자료간의 변환에 있어,

       ~ 래스터 자료의 셀 크기는 정확도에 영향일 끼침

       ~ 래스터 자료에서 백터 자료로 변환은 존재유무, 셀 중심, 점유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

    - TIN모델은 래스터 모델과 백터 모델의 장단점을 모두 지니고 있다.


2). 영상자료의 처리

     (1). 영상융합 (Data Fusion)

         - PAN(그레이 스케일, 고해상도) 와 MS(유색, 저해상도)의 장점을 모두 살린 변환기법

         - 주성분 분석은 자료의 분산을 최대로하는 새로운 변환 축을 찾음으로써 자료의 설명력을 높이려는 특징이 있다.

         - 식생지수는 자료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필요한 정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변환기법

     (2). 3차원 공간자료의 통합

         - BIM(실내)과 GIS(실외)의 통합으로 실내 및 실 외 공간정보가 하나로 결합됨.

         - 이에 따른 변화과정에서 표준과 가이드라인이 요구됨


4. 공간자료의 관리

1). 공간자료의 관리

     (0). OLTP와 OLAP

         -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 온라인 트랜잭션

            ~ 여러 사용자의 PC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DB서버가 처리

            ~ 그 결과를 요청한 사용자PC에 결과값을 되돌려주는 과정

            ~ 콩(사용자의 요청) 심은데(트랜잭션) 콩 나고(사용자에게 돌려줌)

               팥(사용자2의 요청) 심은데(트랜잭션) 팥 난다.(사용자2에게 돌려줌)

            ~ ex). 상품 주문 및 결제, 댓글 작성 및 수정 등

                  ? 트랜잭션(Transaction)

                      - 쪼갤 수 없는 업무처라의 최소단위

         -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온라인 분석 처리

            ~ OLTP 는 입력된 데이터 처리라면, OLAP 는 DB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것이 중점

            ~ ex). 한달간 인기 검색어, 1년간 누적 조회수 조회 등

 

     (1). 공간자료의 관리

         - 데이터베이스는 OLTP뿐만 아니라 OLAP에서 더 활용도가 높음

         - 기존의 전통적인 DB에서 빅데이터로 전환됨에 따라

           대량의 데이터를 동시처리 하기 위한 NoSQL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됨

            ~ Colum-Oriented : 컬럼 단위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함.

                                            예를들면 다람쥐에 대한 정보(이름, 나이 등) 없이,

                                            다람쥐의 집 주소만 알아도 다람취에게 접근할 수 있음.

            ~ Document Store : 미리 정의내리지 않고 (저장과정에서) 개념을 정의

            ~ Key-Value Store : 예를 들면 김치볶음밥 만드는 법(블로그)에 대한 모든 내용이 아니라

                                            블로그 주소만 알아도 찾아갈 수 있는것. Colum-Oriented과 비슷?

            ~ Graph : 예를 들면 다람쥐와 햄스터가 친구일때 둘 사이의 관계(토폴로지) 같은것

         - 우리가 주로 사용하면 SHP 파일(GIS프로그램)과 공간 DBMS 파일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공간 DBMS (SDBMS)

    - SQL을 사용해서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

    - SQL의 문법

       ~  SELECT : 원하는 결과물

       ~  FROM : 데이터를 가져오려는 릴레이션

       ~  WHERE : 조건문


3). 지오메트리와 인덱싱

    - 선분이나 원호로 연결된 노트들이 존재할 때, 이 노드들 간의 순차적인 연결(관계)를 의미

    - 지오메트리에는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 인덱싱을 통해 공간데이터에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rf  (0) 2024.03.12
데이터베이스와 관계 데이터 모델, SQL 01  (0) 2022.08.02